반응형

티스토리 포스팅이 구글에 노출되는 방법에는 여러 썰들이 있지만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없습니다. 다만 SEO 기본 가이드를 통해 Google 크롤러인 Googlebot이 크롤링을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 6가지를 통해 구글봇이 내 글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1. 제목
2. 소제목 h1 태그
3. 메타 디스크립션
4. 페이지 url
5. 이미지 파일명, alt 태그
6. 글자수

 

제목

제목은 검색자는 물론 구글봇에게 해당 페이지의 주제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목은 자연스럽게 읽히며 내용을 효과적으로 설명해 주는 문장이어야 합니다. 단순 키워드 나열이나 본문과 상관없는 제목은 피해야 합니다.

 

소제목

h1 태그, 표제 태그로도 불리는 소제목입니다. 본문 내용에 강조해야 되는 중요한 부분은 h1, h2, h3 태그를 사용하고, 계층 구조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문단 나누기 없이 텍스트만 쭉 나열되어 있다면 검색자 입장에서 가독성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글봇이 내 글을 크롤링하기 어려워집니다.

티스토리에서는 제목1~3을 활용해 소제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제목1은 h2 태그입니다. 글의 내용에 맞게 순서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문단 위에 "소제목"은 제목2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티스토리 제목, 본문 설정

 

메타 디스크립션

메타 설명 태그로도 불리는 메타 디스크립션은 구글 검색 결과 화면에서 페이지의 제목 밑에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줌으로써 검색자에게 제목과 함께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티스토리에는 별도로 메타 디스크립션을 설정하는 기능은 없지만 포스팅 첫 문단에 내용을 함축적으로 요약해서 적어주시면 됩니다. 잘 요약된 메타 디스크립션은 스니펫으로 사용되어 아래처럼 검색 결과 최상단 노출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단순 키워드 나열이 아닌 문장으로 작성해 주셔야 합니다.

스니펫-검색-예시
"카카오톡 설치방법" 검색 결과

 

페이지 URL

구글 SEO에서는 page1.html과 같이 일반적인 페이지 URL보다는 https://ntblogt.tistory.com/entry/티스토리-애드센스-수익형-블로그-세팅-방법과 같이 콘텐츠와 관련된 단어가 들어가 있는 URL이 검색자에게 더 친숙한 느낌을 준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기본 세팅은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위 링크에서 문자로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파일명, alt 태그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짧은 텍스트로 파일명을 설정하고, 대체 텍스트인 alt 태그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파일명은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노출되는데 도움이 되고, alt 태그는 이미지를 어떤 이유로 불러오지 못할 경우 이를 대체할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이미지를 설명해 줍니다. 

티스토리는 html 편집 없이 alt 태그 입력이 가능합니다. 이미지를 삽입하고 눌러보면 "대체 텍스트 삽입" 기능이 있습니다. 이미지가 안 보여도 '이 자리에 이런 이미지가 있구나' 하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짧은 단어를 입력해 줍니다.

티스토리-alt태그-입력방법
티스토리 이미지 alt 태그 삽입 방법

 

글자수

구글 SEO 기본 가이드에서는 글자수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1,000자 이상 채워야 한다, 2,000자 이상 채워야 한다 등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정보는 모두 잘못된 정보입니다.

구글은 딱 2가지, 검색자와 광고주만 생각합니다. 검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글을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구글은 이 방법에 대해선 알려주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SEO 기본 가이드는 알려주고 있죠. 양질의 포스팅을 하기는 어렵지만 구글에서 권장하는 사항은 실천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